공모주 청약 균등배정 비례배정에 대해서 헷갈려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아 정리해보려 합니다. 많은 분들이 주식투자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공모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공모주 청약을 하다보면 균등배정과 비례배정에 대해 알고계셔야 하는데요. 오늘은 저와 같은 주식 초보자를 위해 공모주와 공모주 청약 균등배정 비례배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있었던 카카오페이, LG에너지솔루션 공모주로 인해 공모주에 대한 관심이 굉장히 많아졌습니다. 주식투자에 관심이 없었던 분들도 최근에는 주식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면서 우량기업에 대한 공모주 청약은 대부분 하시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그럼 먼저 공모주에 대해 알아보고, 균등배부란 무엇인지, 그리고 비례배부는 어떻게 하는 것인지 간단한 예시들을 통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공모주란?
공모주란, 쉽게 설명하자면 기업에서 50인 이상의 일반인들에게 공개로 주식을 모집하는 걸 말합니다. 즉 기업이 투자에 사용할 자금을 모으기 위해서 공개적으로 모집하는 것을 말하는데요. 이는 주식 등의 유가증권을 신규로 발행하는 걸 수도 있고 이미 발행되어 있는 주식 등에 대해서 매각을 진행하는 것도 공모주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공모주의 경우 수량에 상한선이 존재합니다. 그 이유는 기업이 모집하는 투자금의 규모가 기업마다 다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한 회사에서 총 투자금 1000만원을 모집하는데, 1주에 100만원인 주식 10개를 발행할 수도 있고, 1주에 10만원인 주식 100개를 발행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발행된 공모주를 배정하는 방법이 바로 균등배정과 비례배정입니다.
공모주 청약 균등배정이란?
그럼 균등배정에 대해서 먼저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균등 배정이란 말그대로 투자금에 상관없이 공모청약을 한 예비주주들에 대해서 1/n으로 균등하게 주식을 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균등배정을 예로 들어서 설명해보겠습니다. 예를 들어서 A가 20만원, B가 30만원, C가 40만원, D가 10만원으로 공모주 청약을 했습니다. 이때 총 주식수량은 100개입니다. 균등배정은 A, B, C, D의 청약증거금의 차이가 있지만 동일하게 주식을 A, B, C, D에게 25개씩 배정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는 균등배정 100%로 진행하는 회사는 거의 없습니다. 대부분은 균등배정과 비례배정을 50:50으로 진행하는 편입니다. 하지만, 다소 최근에 공모주 상장이 진행되었던 카카오페이의 경우 100% 균등배정으로 주식을 배부했습니다. 이러한 경우 최소증거금만 있다면 균등배정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씨드머니가 많이 없는 분들에게 좋은 공모주입니다.
공모주 청약 비례배정이란?
공모주 청약 비례배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공모주 청약 비례배정은 투자금에 비례하여 주주에게 주식을 배부하는 방식입니다.
비례배정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겠습니다. 이때 주식수량은 총 100개이고, 균등배부의 예시와 동일하게 A가 20만원, B가 30만원, C가 40만원, D가 10만원으로 공모주 청약을 했다고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비례배정의 경우 투자금에 비례하여 주식을 A에게 20개, B에게 30개, C에개 40개, D에게 10개를 배정합니다. 쉽게 이해가 가시죠?
균등배정 비례배정 50:50이란?
그렇다면 균등배정과 비례배정을 50 : 50으로 하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요?
예시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총 주식 수량은 400개이고 동일하게 A가 20만원, B가 30만원, C가 40만원, D가 10만원으로 공모주 청약을 했다고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그럼 총 400개를 반으로 나눠서, 균등배정에 사용될 주식수량은 200개이고, 비례배정에 사용될 주식수량은 200개입니다. 이렇게되면 균등배정을 통해 A, B, C, D 모두 각각 50개의 주식을 배정받게 됩니다. 비례배정을 통해서는 A가 40개, B 60개, C 80개, D 20개를 배정받게 됩니다.
따라서 이런 경우, A는 90개, B는 110개, C는 130개, D는 70개를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지요.
혹시 이해가 잘 되셨나요? 저의 경우 균등 100%이나, 비례 100%일 때는 이해가 잘 되었는데, 균등배정과 비례배정을 섞어두니 헷갈려서 저와 같은 분들이 쉽게 이해하시길 바라며 정리 해보았습니다. 그럼 오늘의 글도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2.01.06 - [분류 전체보기] - 보통주와 우선주의 차이
보통주와 우선주의 차이
저와 같은 주식 초보분들을 위해 보통주와 우선주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삼성전자 우선주에 대해서 알아보다가 보통주와 우선주를 공부하게 되었는데요, 저처럼 삼성전자
main.wellknownews.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