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와 같은 주식 초보분들을 위해 보통주와 우선주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삼성전자 우선주에 대해서 알아보다가 보통주와 우선주를 공부하게 되었는데요, 저처럼 삼성전자 우선주와 보통주를 고민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내용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그럼 보통주와 우선주의 차이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목차
보통주와 우선주의 차이
보통주와 우선주의 구분방법
삼성전자 우선주 VS 보통주
보통주와 우선주의 차이
보통주와 우선주의 차이를 먼저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의결권 여부
보통주와 우선주의 가장 큰 차이는 의결권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의결권이란 주식을 소유하고 있는 주주가 주주총회를 통해 회사의 경영에 대한 의사결정에 관여 할 수 있는 권한이라고 보면 됩니다. 보통주의 경우 주식을 보유한 만큼의 비율로 의결권이 주워지나, 우선주의 경우 이러한 의결권이 부여되지 않습니다.
2. 잔여이익에 대한 배분
보통주와 우선주의 차이는 잔여이익에 대한 배분이 있습니다. 예를들어, 우선주와 보통주를 갖고 있는 주주들에게 배당금을 나눠준 후 잔여이익이 남게되면 우선주 주주들에게 먼저 배부가 되게 됩니다. 회사 부도가 났을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잔여재산이 남게되면 우선주 주주가 보통주 주주보다 잔여재산에 대한 우선권을 갖게됩니다.
3. 발행량과 거래량이 낮음
우선주의 경우 발행량이 낮을 수 밖에 없습니다. 이유는 주주평등의 원칙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에서 발행되고 있는 주식은 거의 대부분 보통주로 구성이 되어있습니다. 따라서 우선주의 경우 발행량이 낮다보니 거래량 또한 낮을 수 밖에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우선주가 보통주보다 가격이 낮은데도 불구하고 기업들은 왜 우선주를 발행하는 걸까요? 아까 말씀드린대로 우선주의 경우에는 주주들의 의결권이 없습니다. 따라서 기업입장에서는 주주들의 경영에 대한 관여는 받지 않으면서 자금을 모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보통주와 우선주의 구분방법
주식 중에서 특히 우량주를 보시다보면, 뒤에 '우'가 붙어있는 것을 보실 수 있으셨을 겁니다. 예를들어, 삼성전자의 경우 아래와 같이 두가지로 구성이 되어있는데, 삼성전자의 경우에는 보통주인 삼성전자와 우선주인 삼성전자우가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뒤에 '우'가 쓰여있는 것을 우선주라고 보시면 됩니다.
현대차 주식을 검색해보았을 때 현대차, 현대차우, 현대차2우B, 현대차3우B 이런식으로 보이실텐데요. 현대차의 경우 보통주를 뜻하고 현대차우, 현대차2우B, 현대차3우B의 경우 현대차의 우선주라고 보시면 됩니다.
현대차주식을 보여드린 이유는, 삼성전자의 경우 우선주가 한종류밖에 없어서 더욱 자세히 설명을 드리기 위해서 현대차주식을 가져오게 되었습니다. 현대차주식을 보시면 우선주가 여러개가 존재하는데요, 현대차를 사용해서 우선주끼리의 차이를 말씀드려보겠습니다.
1. '우' 는 우량주를 뜻하며, 보통주는 '우'가 없습니다.
2. 현대차 2,3은 발행 순서를 뜻합니다.
3. 맨 뒤에 B는 1996년 이후에 발행된 우선주를 뜻합니다.
1996년 이후에 발행된 우선주를 기준으로 B가 붙는 이유는 당시의 상법의 정한 성격이 조금 다르기 때문입니다. B가 붙은 신형 우선주의 경우 회사의 상황이 좋지 않더라도 주주에게 반드시 배당금을 지급해야합니다. 즉, 최저 배당률이 존재합니다.
삼성전자 우선주 VS 보통주
삼성전자 우선주와 보통주를 고민하시는 분들이 참 많으실 거라고 생각됩니다. 사실 여기서부터는 개인적인 의견이니 절대 참고만해주세요!
삼성전자 우선주와 보통주의 경우 최근 배당금이 대부분 동일한 금액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현재기준으로만 봤을 때 2021년 3분기 배당금도 동일하게 361원이었습니다. 삼성전자 우선주가 보통주보다 주당 단가가 낮은 걸 생각하면 배당금 비율은 더욱 높다고 보시면 됩니다. 하지만 삼성전자 우선주의 경우 의결권이 없지요. 이 두가지를 고려해보신 후 어느게 본인에게 더욱 유리한 주식인지 판단하셔야 될 것 같습니다.
오늘은 주식용어인 우선주와 보통주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았는데요, 저도 찾아보면서 많은 공부를 한 것 같아서 뿌듯합니다. 이 글이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