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맞춤법 검사기 종류 추천

 

오늘은 맞춤법 검사기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맞춤법 검사기는 정말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자소서를 쓰거나할 때 꼭 맞춤법 검사기를 통해 체크하고 계시죠? 맞춤법 검사기는 다음 뿐만 아니라 네이버, 부산대학교, 잡코리아 등등 다양한 사이트에서 한글 맞춤법 검사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몇가지 리스트를 드릴 테니 본인에게 가장 알맞은 한글 맞춤법 검사기를 사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목차

잡코리아 맞춤법 검사기

부산대학교 맞춤법 검사기

다음 맞춤법 검사기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

 

 

잡코리아 맞춤법 검사기

 

저는 약 7~8년 전쯤 자기소개서를 썼었는데, 사실 그때 취준생 사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었던 맞춤법 검사기는 사람인에서 제공하는 맞춤법 검사기었습니다. 이후에 다양한 사이트에서 맞춤법 검사기를 제공하였던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사람인 맞춤법 검사기가 없어졌습니다. 그래서 최근에 제가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잡코리아 맞춤법 검사기를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잡코리아 맞춤법 검사기

 

참고로 잡코리아 맞춤법 검사기를 보시면 글자수세기 등 다양한 기능을 추가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잡코리아 맞춤법 검사기는 아래와 같이 맞춤법 검사를 할 내용을 넣어준 후 하단의 '맞춤법 검사' 버튼을 통해서 맞춤법 검사가 가능합니다.

 

출처 : 잡코리아 공식 홈페이지

 

그럼 오타를 찾아줍니다.

출처 : 잡코리아 공식 홈페이지

 

변경을 원하는 오타의 경우 붉은색의 단어를 클릭해서 수정하시면 됩니다.

 

출처 : 잡코리아 공식 홈페이지

잡코리아에서 제공하는 맞춤법 검사기의 경우 가시성이 좋아 많이 활용하게 되는 맞춤법 검사기입니다.

 

부산대학교 맞춤법 검사기

 

두번째는 부산대학교 맞춤법 검사기입니다. 부산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권혁철 교수의 인공지능연구실과 나라인포테크와 공동 개발한 프로그램입니다. 아무래도 부산대학교에서 만든 맞춤법 검사기가 신뢰가 가더라고요. 그래서 정말 중요한 글을 써야할 때는 부산대학교 맞춤법 검사기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부산대학교 맞춤법 검사기

 

부산대학교 맞춤법 검사기는 아래와 같이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이용을 해주시면 됩니다. 화면이 조금 딱딱한 면이 있어 저도 사용을 자주하는 편은 아니지만, 그래도 신뢰가 가장 많이 가는 맞춤법 검사기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출처 : 부산대학교 맞춤법 검사기

 

교정 내용을 보시면 아래와 같이 상당히 자세히 뜨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출처 : 부산대학교 맞춤법 검사기

 

 

다음 맞춤법 검사기

다음에서도 맞춤법 검사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대 글자수가 1000자이기 때문에 목적에 따라서 짧은 글의 경우 간편하게 이용하실 수 있지만, 1000자가 넘는 글에 대해서는 불편하실 수 있습니다. 저도 간단히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음에서 쉽게 맞춤법 검사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다음 맞춤법 검사기

 

맞춤법 검사는 아래와 같이 하실 수 있습니다. 글을 적어주신 후 '검사하기'를 통해서 하시면 되요.

출처 : 다음 맞춤법 검사기

 

그럼 이렇게 틀린 부분을 교정해주는데요. 다음의 경우 1000자라는 제한이 없으면, 가시성이 매우 좋은 편이기 때문에 자주 사용했을 것 같습니다. 따라서 짧은 글 맞춤법 검사하시는 분들에게 추천드립니다.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는 따로 사이트가 있지 않고, 네이버에서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를 검색하시면 아래와 같이 맞춤법을 검사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의 경우 500자 제한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문장별로 궁금한 점이 갑자기 있거나 할때 주로 사용하는 편입니다.

 

출처 :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

 

 

이상으로 맞춤법 검사기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양한 맞춤법 검사기가 있지만, 본인의 눈에 보기 좋은 맞춤법 검사기가 가장 좋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저의 경우 다양한 맞춤법 검사기를 그때그때 필요에 따라 사용하고 있으니, 이글을 보시는 분도 필요상황에 맞춰서 사용하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댓글